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동기
- S3
- 배포
- 스파르타코딩클럽
- 개발
- Preview
- qwe
- socket.io
- imagePreview
- 7기
- route
- 후기
- previousState
- updater
- useEffect
- 브라우저 렌더링
- 항해99
- 접근 제한 라우팅
- setstate
- FileReader
- rendering
- 비동기
- routing
- Github Actions
- 채팅방
- Redux
- 미리보기
- react
- 라우팅
- CI/CD
- Today
- Total
목록면접대비 (2)
삐옹
http와 https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통신을 주고받게 해주는 가장 기초적인 프로토콜입니다. 그런데 http 프로토콜은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은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떄문에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주고받는 데이터가 쉽게 도난 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습니다. 그래서 이를 보완한 것이 https입니다. https는 ssl을 사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암호화된 연결을 도와주고 도난당하는 것을 막아줍니다. SSL인증서는 데이터를 암호로 바꾸어줍니다. 또한 http에서 https로 전환하게되면 SEO에도 유리합니다. 🙇🏻참고 https://brunch.co.kr/@hyoi0303/10 HTTP와 HTTPS 차이점 디자이너가 개발자와 일 하다 보니 (2) | 지난 2014년 구글에서는 HTTP를 ..

Oauth 2.0의 작동방식 인증을 위한 개방형 표준 프로토콜입니다. 기존에 쿠키, 로컬스토리지, 세션을 이용해 직접적으로 로그인을 구현하는 것 대신 sns로부터 인증을 대신 받아 서버에 엑세스 토큰을 받아 접근권한을 가진 엑세스 토큰을 발급한 뒤 서버가 이를 활용하여 인증하는 방식입니다. 애플리케이션에서 sns에 인증요청을 하면 인가코드를 부여받아 서버가 이를 이용해 sns로부터 사용자의 정보가 담긴 access token을 발급받습니다. 서버에서는 이를 JWT토큰으로 바꿔 앱에 줍니다. ✅추가 예상 질문 JWT토큰? 인증에 필요한 모든 정보들이 암호화되어 있는 토큰이다. Header, Payload, signature로 나누어져있습니다. 사용자는 요청 할 때마다 JWT토큰을 헤더에 실어보냅니다. 🙇🏻..